아이폰 티머니 교통카드 지원 시작! 어떻게 쓰고 무엇이 달라졌나?
애플이 드디어 국내 아이폰 사용자들이 오랫동안 기다려온 티머니 교통카드 기능을 도입했습니다. 이제 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도 버스·지하철 탑승이 가능해졌습니다. 애플페이가 국내에 상륙한 지 약 2년 만에 이뤄진 변화인데요, 이번 업데이트가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아이폰에서 티머니 사용 가능해졌다
2025년 7월 22일, 애플은 아이폰과 애플워치에서 티머니 교통카드 지원을 시작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이제 모바일티머니 앱을 설치하고, 애플 지갑(Wallet)에 티머니를 추가하면 실물 교통카드 없이 아이폰이나 애플워치를 단말기에 대기하는 것만으로 대중교통 탑승이 가능합니다.
- 충전 방식: 선불 충전 방식 지원
- 충전 방법: 애플페이 지원 카드, 계좌이체, 티머니 마일리지
- 자동 충전 기능: 잔액이 일정 금액 이하로 떨어지면 원하는 만큼 자동 충전 가능
- 배터리 절약 모드 지원: 전원이 거의 방전된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 교통카드 기능 사용 가능
- 지원 기기:
- 아이폰 XS / XR 이후 모델
- 애플워치 시리즈6 및 SE 2세대 이후 모델
애플페이 티머니, 익스프레스 모드 지원
익스프레스 모드를 통해 아이폰의 잠금을 풀지 않고도 단말기에 대기만 하면 결제가 가능합니다. 이 기능은 기존 안드로이드 기반 삼성페이, 네이버페이 교통카드 기능과 유사하며, 사용자 편의성을 크게 높입니다.
또한,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등록된 카드 정보는 암호화되며, 사용자의 이동 내역은 추적되지 않도록 설계되었습니다.
공교로운 출시 타이밍, 전략인가?
업계에서는 애플이 이번 기능을 출시한 시점에 주목하고 있습니다. 경쟁사 삼성전자 갤럭시 Z 폴드7·플립7이 사전예약에서 기록적인 흥행을 보이는 가운데, 애플이 충성 고객 이탈을 막기 위한 전략적 대응이라는 해석이 나옵니다.
- 갤럭시 Z 폴드7·플립7은 공개 이후 국내 사전예약 104만 대를 기록하며 역대 최고 흥행 조짐을 보이고 있음
- 애플은 그동안 국내 서비스 출시 속도가 느리다는 평가를 받아왔는데, 이번 타이밍은 경쟁 구도 속 전략적 의미가 큼
아이폰 교통카드 기능, 판을 바꿀까?
전문가들은 이번 변화가 스마트폰 시장의 큰 판도를 바꾸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애플페이가 도입된 이후에도 국내 스마트폰 시장 점유율은 삼성 60~70%, 애플 20~30% 수준으로 유지
- 이미 국내 사용자는 삼성페이 등 편리한 교통카드 경험에 익숙
- 애플이 이번에 선보인 기능은 혁신적인 기능이라기보다 뒤늦은 대응
사용법 요약
- 모바일티머니 앱 다운로드
- 애플 지갑(Wallet)에 티머니 추가
- 선불 충전 후 바로 사용 가능
- 익스프레스 모드 설정으로 잠금 해제 없이 사용
- 자동 충전 옵션 설정으로 편의성 극대화
결론: 아이폰 유저는 환영, 하지만 영향력은 제한적
아이폰에서 드디어 대중교통 교통카드 기능이 가능해진 것은 환영할 만한 소식입니다. 그러나 이미 안드로이드 진영에서 오래전부터 제공하던 기능이기에 시장 점유율에 큰 변화를 줄 가능성은 낮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아이폰 사용자들의 만족도는 크게 올라갈 전망입니다.
여러분들의 생각을 댓글로 작성해주세요.